Porsche? …. 포르쉐? 포르쉐라니…… 헐……..
아마도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서는 이런 생각을 하시지 않았나 싶습니다. ^^;;;;
뭐 단어들이 뭔가 불편하게 해드린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ㅋㅋ
네, 사진에 나와 있는 차에 대해서 조금 생각해 본 내용을 적어 보려고 합니다.
뭐 이 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굳이 적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적기 귀찮아서요…. 일일이 spec들을 다 찾아보기도 그렇고… 논문도 아닌데…
흠….. 대충 이 차가 가지는 의미는……
700 마력이 넘는 출력에 뉘버그링 써킷 기록 7분 이하, 뭐 보기에도 끝내주구요……
그런데 연비가 70mpg 가 넘는다는 점…….
엥? 70mpg?
네 맞습니다.
“돈이 넘치는 사람의 기름값까지 걱정하는 이해할 수 없는 마인드를 충족시켜주는
소수의 1%를 만족시키려는 엽기적인 마케팅…….”
.
.
.
은 아니구요.
“레이스 기반의 엔진을 다듬고, 이미 레이스에서도 사용하고 있는 고수준의 하이브리드 기술을 상용화 시키기 위한 최고의 프로젝트”
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이 차의 엔진 구성은 500+ 마력의 엔진과 100+ 마력의 두개의 모터. 즉 하이브리드입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무거운 배터리 무게 때문에 고성능의 자동차를 만들기에 어려운 점이 있는데요. 이 차의 경우 경량화한 컴팩트한 배터리 셀로 인해서 추가되는 무게를 최소화 하였습니다. 그래도 어쩔 수 없이 늘어나는 무게는 다른 부품들의 현격한 경량화로 고성능을 이루어 냈습니다.
사실 연비가 70mpg 가 넘는다고 해도, 이것이 몇백마일씩 유지할 수 있는 연비가 아니라 제한된 거리만 달릴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연비가 높다고 말하는데는 어폐가 있습니다. 단지 어떤 구간에서 전기로만 달릴 경우에 그 정도에 달하는 연비의 정점을 찍을 수 있다는 얘기죠.
이 차의 더 큰 의미는, 실험적으로나 아니면 정말 말도 안되는 거금을 들인 레이스 머신에서나 사용하던 기술들을 상용화에 가깝게 만들어 냈다는 것입니다. 대충 만들어서 돌아가는 허접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아니라 뉘버그링 기록을 세울 수 있는 고성능의 하이브리드 (고성능은 기술의 완성도를 대변하죠. 자동차 업계에서는… 뭐 좀 심하게 단순화시킨 말이긴 하지만요) 그리고 918명의 고객에게 인도하는 소량이지만, 상용 자동차란 것입니다. 상용 자동차란 내구성이 뒷받침 된다는 얘기죠. 늘 하는 이야기 이지만, 혼다 2.x 엔진의 출력은 200마력 이하의 별 것 안되어 보이는 출력입니다. F1 2.4L 750+ 마력에 비하면요. 그렇지만, F1 엔진의 만 마일도 안되는 수명과 혼다 어코드의 20만 마일의 내구성은 성능과 내구성의 trade-off 관게 등을 설명해주죠. 다시 말해서 918 스파이더는 거의 레이스 머신의 내구성에 일반 상용차의 내구성을 이룬 소위 말해서 독보적인 pareto optimal 내지는 능력자인 셈이죠.
뭐 대충 이정도가 백그라운드이구요.
제가 정말 인상 깊었던 것은 이 차의 마케팅 내지는 펀드 레이징, 그리고 고객층 내지는 매니아들이었습니다.
이 차 한대(!)의 가격은….. 놀라지 마시구요…..
대충 one million dollar. $850,000 부터 시작하구요. 옵션에 뭐 이것 저것 붙으면 그 정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화로 약 10억에 가까운 돈이죠…… 흠…. 놀라지 마시라니까요…. 저도 다시 가격을 확인해보게 되네요. 적다 보니 그 가격이 참 놀라워서……
계산기를 두드려 보면, 918 대 한정 생산하니, 대충 계산해서 회사가 모으게 될(?) 돈은 대충 1B 달러 정도 되네요. 차량 한대의 가격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서 하나의 프로젝트비로 생각하면 적지 않은 금액입니다. 이런 펀드를 단지(?) 900 명 남짓한 사람들로부터 모을 수 있다는 것이 참 대단합니다.
Porsche라는 회사는 리서치 회사가 아닙니다. 철저하게 이윤을 추구하는 회사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가 살아남기 위해서, 아니 업계를 리드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기술력이 필요하고, 여기에는 많은 리서치 펀드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번 918 같이 멋진 자동차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고객에게서 받아내는(?) 환경과 능력이 너무 너무 부럽고 대단해 보입니다.
물론 Porsche는 실제로 918 차량 한대를 생산해내기 위해서 들이는 돈이 $850,000 보다 훨씬 클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예전에 959라는 모델의 경우 가격의 2배(아마 맞을 거예요)에 해당하는 생산비가 들었고, 한 대를 팔 때마다 그 만큼 회사로서는 손실이었던 경우가 있었죠. 이번에는 어떨 지 모르겠지만, 그런 손실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남들이 가지지 못했던 기술력을 가지게 됩니다. 959의 경우, 그 당시에 없었던 고성능 4륜 구동의 기술, 전자적 토크, 동력 전달 기술, 그리고 서스펜션 자동 높낮이 및 강도 조절 등의 기술을 완성하게 되죠. 후에 이런 기술들은 모든 포르쉐 차량에 도입되게 됩니다.
결론은 그런 고객들의 펀드마저도 없다면, 포르쉐는 이런 프로젝트를 계획할 수도, 기술들을 축적할 수도 없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한 대의 차를 사기 위해 밀리언에 가까운 돈을 쓰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일지 별로 궁금하지 않습니다. 뭐 석유재벌에 재벌 몇세에 IT 붐에 돈방석에 앉은 사람 등 다양한 사람들이 있겠죠. 이런 비용이 사치이든지 아니면 남에게 보이고 싶어하는 욕구 때문이든지 뭐 그리 궁금하지 않습니다. 어찌하든 이런 돈들이 앞으로의 자동차 기술들을 진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거라는 점이 제게는 더 중요합니다.
컴퓨터 아키텍처 관련 리서치 펀드가 점점 말라가는 것 같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죠. 인텔 같은 회사가 거의 모노폴리이고, (중간 생략하고….) 아무튼 리서치로 유입되는 돈은 줄어들었죠…..
어떻게 하면 컴퓨터 쪽에서도 이런 멋진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까 생각해 봅니다.
어디 10GHz 로 작동하고 배터리만으로도 동작하는 수퍼 imac 같은 컴퓨터를 1million에 사실 918 분 안 계실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