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량 보존의 법칙

일단, 많은 분들이 공감하실 특수한 경우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학교에서 많이 알려진 “공부량 보존의 법칙”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고등학교때까지 열심히 공부안한 사람은 대학가서 상대적으로 확보하지 못한 “학벌”을 만회하기 위해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합니다. 취업 준비도 열심히 안 했던 사람은 진입문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업종 내지는 회사에 취직함에 따라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회사에서 열심히 공부해야 합니다. 결국엔 해야하는 공부의 양은 변하지 않습니다.
(요즘엔 조금 다르게 쓰이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학부 때 제대로 공부하지 못한 사람이 석사->박사 이렇게 진학해서 공부량을 채운다고 보는 거죠. 소위 말해서 요즘 잘나가는 사람 중에서 박사한 사람 있냐는 것이죠. 뛰어난 사람은 일찍 사회에 대한 공부를 마쳐서 부/명예 등의 성공을 누리고, 사회 공부 못한 사람은 진학이든 취직이든지 간에 고생하면서 나머지 공부를 한다는식의…..)

조금 더 일반화 시키면, 열심히 배워야 할 때 해 놓지 않으면 살면서 고생합니다. 중고등학교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사실을 사회시간에 열심히 공부해 놓지 않았다면, 다시 말해 사회화가 덜 됐다면, 살아가면서 고생하면서 몸으로 배우게 됩니다. 혼자서 살 순 없다는 사실을요… 역시 공부의 양은 변하지 않습니다.

조금 과장된 느낌이 있다면 “집안일 보존의 법칙”을 살펴보겠습니다.

빨래나 청소를 담당하시는 분들이시라면 이해하시겠지만, 일을 미룬다고 해서 일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미뤘던 빨래와 청소는 결국에는 나중에 한꺼번에 열심히 해야 없어집니다. 청소에 동의하지 않으신다구요? 물론 청소는 1주일에 한번 하던 것을 1달에 한번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렇게 해서 쌓인 먼지와 나빠진 청결상태로 호흡기 질환등의 몸고생이나 더러운 집안 환경으로 정신 건강에 해롭습니다. 결국 몸의 회복하기 위해 변환된 “노동”을 해야 합니다.

아파트를 이사 다니다 보면 security deposit을 돌려받기 위해 move-out 청소를 열심히 하게 됩니다. 사실은 살면서 누렸어야 하는 것인데, 마지막에 걸린 현금때문에 하게 되는 건데요. 역시나 “집안일 보존의 법칙”이 성립함을 실감하게 됩니다. 오히려 미루면 손해죠.

조금 더 일반화 해보자면, 누구든지 간에, 무엇을 하려고 하면, 거기에는 주어진 “노동량”이 따르는 것 같습니다. 그 노동량은 일시불이든 할부든 분할상환이든 뭐든지 간에, 치뤄야한다는 것입니다.
학위를 마치기 위해 아무리 힘들더라도 치뤄야 하는 노동량이 있구요,

성숙한 부부관계에 이르기 위해 치뤄야 하는 노동량이 있구요,

조금 더 자라기 위해서 취뤄야 하는 노동량이 있는 것 같습니다.

….너는, 죽는 날까지 수고를 하여야만, 땅에서 나는 것을 먹을 수 있을 것이다……(창세기 3:17)

이 말씀을 다시 적는 것 밖에 못 한 것 같은데, 조금은 말씀을 이해하기 위한 노동량을 채운 걸까요?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